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27

alias/리눅스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삭제, 권한부여 23.(목) 과제 alias 명령어 공부해서 예시하나 만들기 터미널 상 사용자 유저 생성 및 삭제 그룹 생성하고 권한 부여 및 수정 https://jhnyang.tistory.com/10 터미널 사용자 유저 생성 1. # root에서 계정 생성 sudo useradd -m user01 (홈디렉터리도 함께 생성) -m 홈디렉토리 지정, -g 그룹지정, -d 디렉토리 지정, -p 패스워드 지정 등 -> # useradd user01 -d /home/terran/user01 //홈디렉터리 경로 지정 OR sudo adduser user01 -> usermod 명령어로 변경가능 2. 비밀번호 설정sudo passwd user01 3. 생성 유저 확인 (+생성 유저의 홈 디렉터리 생성 확인) tail -n 5 /.. 2022. 6. 27.
vi 명령어 1. vi /root/install.log 2. 200G 3. 200행에서 5yy -> 마지막행 G로 이동 -> p로 붙여넣기 4. set nu 5. 300G 6. esc -> i(insert) -> edit 7. esc -> u 8. 100G 9. 5문자 삭제 -> 5x 10. /mailcap -> N으로 이동 11. :%s/el6/centos6/g 12.G 13. :r! find / -name install.log 14. :r /root/anaconda-ks.cfg 15. 500G -> 50dd -> 600G -> p 16. :wq 2022. 6. 24.
[클라우드 엔지니어] Day_08 05.31 AND 2022.06.02 - IP주소 및 클래스 (05/25 ~ 05/26) - Subnetting (05/26 ~ 27) - VLSM (05/30) - OSI 7 Layer & TCP/IP 4 Layer (05/30 ~ 06/02) - 각 계층별 특징/프로토콜/장비 (5/31) - 네트워크 계층[주소, 프로토콜, 장비] (네트워크 유지보수 관리하기) (6/2~) 2022. 6. 2.
[클라우드 엔지니어] Day_06 공부방향 1. 학원 수업 듣고 필기한 것 합쳐서 티스토리에 올리기 (매일) 2. 다시 정리해서 보기 편하게 노션에 올리기 (주 2일: 월, 화) 2022.05.30 - IP주소 및 클래스 (05/25 ~ 05/26) - Subnetting (05/26 ~ 27) - VLSM (05/30) - OSI 7 Layer & TCP/IP 4 Layer (05/30) 복습 네트워크 모델, IP 주소 개념 확실하게 - 클래스 부분 - NA, BA는 특정한 서버에 줄 수 없고 네트워크 전체를 대표하는 주소 - NA는 네트워크에서 가장 작은 주소, BA는 가장 큰 주소 -> NA는 모두 0bit 이며, BA는 모두 1bit. - classless: 옥텟 단위에서 bit 단위로 제어하는 것 = defalut subnet .. 2022. 5. 31.
[클라우드 엔지니어] Day_05 - IP주소 및 클래스 (05/25 ~ 05/26) - Subnetting (05/26 ~ 27) - VLSM 네트워크를 추가로 만드는데 사용하는 부분 = subnet id 1) 클래스 구분 2) 경계선 설정 (호스트 기준으로 경계선) ex_1) 192.168.100.0 host 50개씩 필요 192 = 11000000 = c 클래스 Subnet ID: Hostid의 bit 중 netid로 사용될 bit = 2bit Subnet mask: 255.255.255.192 1) .00xxxxxx NA: 192.168.100.0 BA: 192.168.100.63 HA: 192.168.100.1 ~ 62 2) .01xxxxxx NA: 192.168.100.64 BA: 192.168.100.127 HA: 192.1.. 2022. 5. 31.